우리집, 맑음! 불필요한 것을 덜어낸 미니멀리스 하우스, MARBLING

채움과 넘침이 생활 공간 (주택)의 미덕이던 시절이 있다. 그러다 비움이 주는 미학이 생활 공간으로 까지 스며들었고 무소유 또는 덜어냄이 하나의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잡아 인정 받게 되었다. 그런데 싱글이나 커플만 생활하는 집이 아닌, 가족 단위의 생활 공간에서 비움이라는 게 가능할까?

사실 비움은 소유하지 않는 것이지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2000년대 초기만 해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유해야만 가능했지만 스마트폰 시대를 거쳐 구독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에서는 소유하지 않아도 사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 그렇게 현대 기술과 시스템을 잘 이용한다면, 생활 공간은 생각 이상으로 무척이나 가벼워 질 수 있다.

This image has an empty alt attribute; its file name is Teruhiko-Odauchi-Architects-----phm-zine-6-2000x1333.jpg

일본 건축사무소 Teruhiko Odauchi Architects가 설계한 주택 ‘MARBLING’은 현대적인 미니멀리즘과 실용성을 조화롭게 담아낸 작품이다. 단순한 외형에서 느껴지는 꼭 필요한 것 이외의 것은 과감하게 생략했다. 기능성과 공간의 유연함을 극대화한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깨끗한 화이트 패널과 목재 프레임을 조합하여 따뜻하면서도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전면부 유리 온실이 배치되어 자연광이 실내 깊숙이 스며들도록 설계되었다. 실내외 경계를 허물어 공간을 더욱 넓고 개방적으로 느껴지게 하는 구조적 장치 중 하나다.

실내는 최소한의 요소만을 활용한 절제된 디자인으로 완성했다. 대신 외부 풍경과 자연광이 최대로 스며들도록 설계해 내부는 언제나 맑고 화창하다. 가구와 벽체는 자연스러운 톤으로 마감되어 따뜻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특히,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벽면 수납과 맞춤형 가구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Teruhiko Odauchi Architects는 이 주택을 통해 현대 도시 생활 속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찾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단순하면서도 세심한 설계를 통해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배려한 공간을 창출했다.

‘MARBLING’은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현대 건축의 좋은 예시로 평가받는다. 이 주택은 단순한 형태 속에서도 풍부한 공간 경험을 제공하며, 미래 지향적인 주거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Architects: Teruhiko Odauchi Architects
Photographs: Katsu Tanaka

더 볼만한 기사

PHM ZINE
PHM ZINEhttps://phmkorea.com
집에 대한 즐거운 통찰과 해석, 집에 대한 이해. 더 나은 대한민국 홈 라이프를 위한 PHM ZINE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심플한 동선과 심플한 가구 배치로 완성한 상하이 스튜디오(원룸) 인테리어, 내 방에 적용해 볼까?

언뜻 보아도 꽤 큰 비용을 지불했을 법해 보이는 스튜디오(원룸)다....

현대적 감성에도 전혀 손색이 없는 1960년대 지어진 모던 건축가 Rudolph House

모던 건축가 Paul Rudolph가 보스턴 한 지역의 차고를 변형해...

럭셔리 하우스란 이런 것. 집을 넘어 문화 공간으로. 캘리포니아 베버리힐스의 모던 주택

40 대 후반의 사람들에게 베버리 힐즈하면 떠오르는 것이 미드가...

식상한 네모 집은 버려라! 독특한 계단 구조로 내부를 연결한 일본 협소주택 BB HOUSE

도쿄 같은 복잡한 도시에서 건축에 관한 영감은 계속해서 나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