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Join
HOUSE =
WORLD
KOREA
INTERIOR
PHM TV
COLUMN
ARCHITECTS
NOTICE
Sign in
Welcome!
Log into your account
your username
your password
Log in With Facebook
Forgot your password?
Create an account
Privacy Policy
Sign up
Welcome!
Register for an account
your email
your username
Log in With Facebook
A password will be e-mailed to you.
Privacy Policy
Password recovery
Recover your password
your email
Search
PHM ZINE
감성 건축 미디어, PHM ZINE
NewsWeek
감성 건축 미디어, PHM ZINE
Search
Search
PHM
ZINE
My account
Get into your account.
Login
Sign up
Subscribe
HOUSE =
WORLD
KOREA
INTERIOR
PHM TV
COLUMN
ARCHITECTS
NOTICE
PHM
ZINE
HOUSE =
WORLD
KOREA
INTERIOR
PHM TV
COLUMN
ARCHITECTS
NOTICE
인테리어에서 집중과 선택의 중요성
주택의 연식은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가 주방의 형태(구조)를 보는 것이다. 코너에 위치해 개방이 아닌 고립의 느낌이 강하다면 적게는 15년 이상 된 집이다. 이런 집의...
놓치면 안되는 건축 인테리어 관련 OTT시리즈와 다큐멘터리 15
휴가(방학) 기간 동안 해외여행은 꿈도 꿀 수 없는 시대다. 무엇이든 하고 싶지만, 무엇도 할 수 없어 집에 머물러야 하는 건축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AI 디자인, 설계 시대! 건축가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Chat GTP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모든 이슈를 잠식하듯 여기저기서 ChatGTP 이야기뿐이다. IT계가 시작한 기술이지만, 그 영향력은 지구상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전 지구를 삼킬...
한국 도시 주택에 유럽형 Buffer Zone 방식을 적용하면 어떨까?
한국 주거 지구(Residential Area)와 미국, 호주를 비롯한 유럽 주거 지구는 건축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 봐도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비슷한 비용으로 지어지는 집들인데,...
아키아(IKEA)는 왜 성공했을까?
*나라별로 아키아, 아이키아, 이케아 등으로 불리우나 여기서는 아키아로 명칭한다. IKEA가 한국에 정착한지도 회수로 5년이 되었다. 오프닝 년도에 그토록 열광하며, 국내 가구 시장의 패러다임을 다시 쓴...
주택 신축시 예상 비용의, 최대 2배 준비해야 한다고? 건축 비용 초과될 수밖에 없는 이유
집을 짓다 보면 다양한 예상하지 못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중 하나가 초과 비용이다. 설계 단계부터 꼼꼼하게 준비해도 막을 수 없다. 중간에 커다란 변경이나 문제가...
욕실, 아직도 화장실로 착각하고 있나요? 제 2의 충전 공간 욕실 이해하기와 서양 사례
국내 욕실하면 하얀색 사각 타일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다른 공간을 늘리기 위해 최대한 공간을 줄인다. 창은 없거나 있어도 가로 세로 30cm 정도이며, 일층 주택이어도 천정에...
집에 아웃도어가 필요한 이유, 카페를 찾는 심리의 이해가 필요하다. 삶에 질을 위한 아웃도어 공간
사람들은 왜 카페를 찾아 그곳에서 공부하거나 책을 읽을까? 집중도 면에서는 도서실이 더 좋을 것이고 책을 읽는 것이라면 서점이나 집이 더 편할 것이다. 현대인에게 카페는 커피를 마시는...
미식 축구장 규모의 호주, 뉴질랜드 철물점 Bunnings (버닝스)
버닝스는 호주와 뉴질랜드에 있는 DIY 숍으로 한국으로 말하면 철물점이다. 그러나 그 크기나 다기능적인 면에서 철물점 버전의 IKEA로 불린다. 브렌치마다 크기가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보통...
현대 고소득층은 어떻게, 어디에 돈을 쓰나? 그들은 더이상 고급백을 들고 다니지 않는다. 내 생활 공간을 꾸민다.
고소득층(상류층)의 소비 문화가 변해가고 있다. 과시적 소비에서 내실을 채우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그 소비 중심에 생활 공간이 있다. 100년 전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은 당시...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