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같은 공개공지를 제공하는 서호주 시티 내 아파트

호주 아파트는 국내 아파트와 다르다. 굉장히 허름하거나 굉장히 으리으리하다. 층수가 3-4층 정도이지만 시티로 가게 되면 한국과 같은 높은 층의 아파트를 볼 수 있다. 보통 하나의 동만 있으며, 국내처럼 단지라고 하는 아파트가 모여 만들어진 주거 지역도 찾아볼 수 없다. 이런 아파트의 품질 차이는 호주 생활(이민) 환경의 영향이 크다.

 

 

132-terrace-road-perth-wa-14

 

| 국내보다 화려한 아파트 공개공지

단순히 건물만 제공하지 않는다. 고급 개인 주택이 가지고 있는 좋은 환경을 확장해서 아파트 생활하는 많은 거주자들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지역에 따라 공개공지의 수준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시티 내의 아파트는 생활에 편의를 위한 공동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호주 아파트는 복합형 주거 공간으로 아파트 내에 테니스 코트, 수영장, 휘트니스 등을 다양한 공동 기반 시설을 제공한다.

 

 

132-terrace-road-perth-wa-15

 

| 아파트의 시작, 이민 문화가 주거 문화를 바꾸다

호주, 특히 서호주 퍼스의 경우 아파트 문화의 주거공간이 좋은 공간이 아니었다. 일반 플랫 하우스를(Flat House) 구하기 힘든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었다. 그러다 많은 다른 나라 사람들이 호주로 모여들게 되고 비즈니스가 활발해지면서 주거 문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회 변화가 반영되면서 아파트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시작되었고 이런 영향을 받아 지어진 시티 내 아파트들은 단독 주택에서 제공하는 개방성과 더불어 더 다양한 시설을 제공하도록 만들었다.

 

 

132-terrace-road-perth-wa-7

 

| 국내와는 다른 오픈 플랜 직선 구조

아파트는 건물 특성상 일반 주택에 비해 많은 창을 만들 수 없다. 공간을 잘 못 배치하면 폐쇄적 공간이 된다. 그래서 공간을 일렬로 나열하는 직선형 구조가 많다. 국내 아파트가 거실을 중심으로 여러 공간이 사방으로 분배된다면, 이 호주 아파트는 주방, 거실, 발코니를 같은 선에 배치하고 욕실, 침실 등의 공간은 평행하게 다시 일렬로 배열한다.

이런 직선 구조를 통해 공간을 최대한 개방적으로 만들면서 폐쇄적인 분위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효율적인 동선으로 생활도 무척 편해진다.

 

 

132-terrace-road-perth-wa-13

 

| 한국 아파트 이대로 좋을까?

더 나은 생활을 위한 좋은 공개공지와 시설의 요구는 생활하는 사람들의 권리다. 그런데 국내 아파트는 생활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채워주기보다 공급자의 눈에 맞춰 그냥 제공한다. 생활자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할 아파트 관리소는 이미 이권을 위한 자리 이상의 기능은 상실해가고 있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 권리를 찾는 것은 그만큼 생활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을 때 더 쉽고 빨리 가능해진다. 주거공간을 단순히 내가 지낼 수 있는 곳이 마련되었다는 수준에서 머물면 안된다. 대충 만족하며 살만큼 우리의 삶은 값 없지 않기 때문이다.

 

 

132-terrace-road-perth-wa-2

132-terrace-road-perth-wa-8

132-terrace-road-perth-wa-9

132-terrace-road-perth-wa-6

132-terrace-road-perth-wa-10

132-terrace-road-perth-wa-11

132-terrace-road-perth-wa-12

132-terrace-road-perth-wa-3

132_terrace_road_perth_wa15-1

132-terrace-road-perth-wa-1

132-terrace-road-perth-wa-16
ⓒ기사 내 사진과 영상은 phm ZINE 저작권의 콘텐츠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더 볼만한 기사

임선영
임선영
이야기가 있는 공간, 나눔이 있는 공간. 호주 멜번 거주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00:13:41

건축미학에 대하여! 소통을 위한 기준점 찾기

PHM TV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건축인문학 토크 Y와 친구들의 건축읽기...

지형의 높이차를 그대로 집 내부에 펼친 스텝업 플로어링의 오클랜드 주택 Blackpool House

Blackpool House라 불리는 이 집은 뉴질랜드 오클랜드 Waiheke 라는...
00:31:32

대형설계사, 아뜰리에, 시공사, 시행사 차이. Part 1: 대형설계사vs아뜰리에 [아키리즘, A 12th 잡담]

학생, 또는 이직을 준비중인 직장인에게 언제나 고민거리인 주제다. 어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