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럭셔리 오피스텔은 어떤 모습일까? 베트남 하노이 빌라 둘러보기

국내 수도권 내의 고층 고급 오피스텔, 특히 탑 층은 설계 회사, 시공사 측에서도 상당히 신경 쓰는 층이다. 고소득 층과 비즈니스 맨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최대한 고급스럽게 디자인한다.

해외도 예외는 아니다. 다른 점이라면 반드시 룸(방)을 나누어 디자인하는 국내와는 달리 해외 탑 층은 스튜디오(한국의 원룸 형태. 그러나 넓은) 형태로 디자인되어있다. 그래서 분위기도 느낌도 국내의 탑 층과는 많이 다르다. 개방적이고 넓으며, 자유롭다.

이 빌라는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해있으며, Bauhaus Architects & Associates가 맡아 완성했다.

보고 즐기는 재미가 있는 럭셔리 인테리어

탁 트인 공간, 넘치는 개방감이 오픈 플랜(스튜디오 형태)의 가장 큰 매력이다. 50-70m2(약 18-20 평)의 공간을 방 하나 없이 사용한다는 것이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쉽지 않겠지만 해외에서는 내가 원하는 형태로 나만의 개성을 담아 공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0평이 넘는 공간도 스튜디오 형태가 많다. 특히 럭셔리 공간을 만들 때 오픈 플랜 구조는 굉장한 효과를 불러온다.

수납공간을 디스플레이

책장, 옷장, 수납장 등 수납 공간은 벽안, 문을 사용해 숨기는 것을 기본으로 생각한다. 협소한 공간에서라면 맞는 인테리어 방법이다. 하지만 넓은 스튜디오 공간에서는 굳이 그럴 필요는 없다. 특히 자신이 사용하는 옷, 가방, 이외 소품들이 고가의 제품이라면 그것들을 자연스럽게 들어내, 마치 명품 매장의 디스플레이 같은 효과를 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베트남 빌라는 옷 수납장을 개방해 그만의 매력이 발산되도록 제작했다. 깔끔하게 정리된 옷이 과하지 않게 노출되면서 생활하는 사람의 자유로운 생활 라이프를 그대로 느껴지도록 했다.

동선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침대와 옷장 사이 공간을 두고, 침대 쪽으로 칸막이를 설치해 옷을 정리하고 갈아입는 작은 클로셋을 만들었다. 옷장, 침실, 욕실을 연결하는 동선은 보이지는 않지만 생활에 무척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세 공간을 잘 못 연결하면 집 정리가 힘들어지고 생활이 불편해진다. 집에 들어와 옷을 갈아 입고, 씻는 동선 부분만 해결해도 옷 정리가 안 되어 어지러워지는 불편함은 해결된다.

하나의 거대한 창이 만드는 럭셔리한 공간

럭셔리 공간의 공통점은 거대한 창(또는 유리 벽)이다. 한 번에 들어오는 도시 풍경과 자연, 생활공간에 넘치는 자연광과 빛의 강도 등 큰 창이 줄 수 있는 모든 것이 녹아 있는 방이다.

Architects
: Bauhaus Architects & Associates

ⓒ phm ZINE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VISIT PHM TV

더 볼만한 기사

정 희애
정 희애
어떤 공간은 마음의 소통이 되기도 한다고 믿는 여행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실내 디자인 전공;미국

1 COMMENT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공간을 세이브하고 정리하는 서양식 팬트리 디자인, 한국과는 뭐가 다를까?

아무리 정리해도 끝이 없는 곳이 주방이다. 버리기에는 너무 아깝고,...

왜 국내는 못생기고 똑같이 생긴 주택을 만들고 광고하며 예쁘다고 강요할까?

왜우리는 못생긴 건물을 참고 있을까?   얼마 전 기사를 읽었다. ‘건축이...

집이기에 화려하지 않아도 된다. 화이트로 마감한 일상의 평범한 서호주 Wembley 주택

서양의 모든 집이 화려한 것은 아니다. 서호주 Wembley 지역에...
00:01:52

스포츠와 레저를 집에서! 호주 퀸즈랜드 East Toowoomba 의 레포츠 주택

보는 것만으로도 입이 벌어지며 와 하는 탄성이 새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