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장 따로 짓지 말고 집을 별장처럼. 디자인의 뉴질랜드 강가 주택, Tawharanui House

뉴질랜드 한 강가에 50년 전 Lockwoods로 지어 부모 세대를 거쳐 지금 자녀에게까지 이어진 이 목조(Timber)주택이다. 다음 세대가 결혼해 그들의 아이들이 살기에는 너무 작았지만 위치와 락우드 스케일이 좋아 기존 건물을 반영하는 새로운 건물을 지어 두 가정이 사용하는 지금의 집을 완성했다. 총 200.0 제곱미터(약 64평)으로 RTA Studio 에서 창조했다.

강을 바라보는 벽의 전면 유리화, 초록과 파랑의 향연

서쪽 강을 바라보는 뉴질랜드 주택은 강 쪽 벽 전면을 유리로 마감했다. 이 같은 디자인으로 인해 뉴질랜드 나무 Pohutukawa trees, 초록 잔디, 푸른 강과 하늘, 하얀 구름이 집 내부에 머무르는 집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단열을 문제로 위와 같은 디자인에 익숙하지 않다. 하지만 이런 단열 문제는 집의 구조, 사용하는 자재, 난방 방법 등의 변화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창의 변화(또는 확대)로 얻게 되는 효과는 단열이라는 이유로 포기하기에는 너무 크다. 창은 사람의 심리, 만족감, 사고, 관계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집의 구성요소다.

* 창이 공간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 (클릭)

따로 또 같이. 중앙 Deck(덱, 데크)을 공유하는 두 개의 집

중앙 덱을 중심으로 좌우 형태가 비슷은 미러식 주택이 위치한 구조의 집이다. 각자의 아웃도어 공간을 가지고 있으면서 출입 구이기도 한 중앙 덱을 공유하면서 두 가정의 관계 밀도를 높였다. 하나의 집 같은 느낌을 주지만 각자의 공간은 따로 제공된다.

이웃이 위, 아래로 위치해 있을 때보다  좌우에 위치할 때 관계가 친밀도와 왕래는 더욱 높이진다고 한다. 국내에 비해 해외 사람들이 이웃 간의 교류가 더 자유로운 것은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위아래가 아닌 옆에 위치한 이유도 크다.

살가운 이웃, 자연을 품은 유리벽, 국내에는 가능할까?

보기 좋은 집이지만 과연 국내에 적용이 가능하냐는 생각이 먼저 떠오른다. 좋은 건 알지만 국내 환경에 가능하냐는 의문이다. 환경을 고려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택주의 생각이다. 생활 공간으로서 내가 행복한 집을 건축하냐, 재화 가치로 잘 팔리는 집을 짓느냐가 이 뉴질랜드 같은 집이 가능성을 결정한다.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의지와 경험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집은 무척 개인적인 공간이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사회 흐름에 큰 영향을 받는 집단 단위의 공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왜 국내 주택과 공간 구조가 비슷한지 쉽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Architects
RTA StudioRichard Naish

Photos
: Patrick Reynolds

ⓒ phm ZINE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더 볼만한 기사

이 지선
이 지선
뉴질랜드 공부, 10 Design Hongkong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집짓기 프로세스 STEP 3 : 상상하던 수 많은 머리 속 이미지를 통합하는 첫 미팅

SETP 1에서 비용의 유혹을 뿌리치고 나에게 맞는 건축가를 선택했다면...

글 스페이스와 무인 계산기 확산, 과연 좋은 사회 현상일까?

현대 사회의 화두는 외로움이다. 이이러닉하게도 사회 문화는 싱글(혼자)로 흘러가고...
00:17:51

4가지 감탄 표현법. 건축 소통 기준점 찾기

건축, 공간을 이야기하는데 있어 표현 방법은 무척 중요합니다. 같은...
00:08:20

건축 표절, 법과 양심 사이

얼마 전,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두 개의 카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