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야드의 정이. 그리고 코트야드와 테라스와이 차이점

서양의 아웃도어는 위치, 바닥마감, 높이, 주변 건물(벽)과의 관계에 따라 이름이 나뉜다. 가장 잘 알려진 베란다(Veranda), 발코니(Balcony) 외에도, 테라스(Terrace), 패티오(Patio), 코트야드(Courtyard), 데크(덱, Deck) 등이 있다. 아웃도어 공간 명칭 바로 알기 시리즈로 이번에는 코트야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코트야드 COURTYARD

출처 : http://dg2home.com/courtyards/

코트야드의 영어 의미는 Unroofed area completely enclosed of a large building or walls로 건물이나 벽으로 둘러싸인 지붕이 없는 공간을 의미한다. 1층 Ground floor에 위치하며, 바닥은 잔디로 마감되어 있다. 한국의 중정식 마당과 흡사한 형태를 취한다. 코트야드는 주택 건물 뿐 아니라 상업 공간 혹은 공공건물 등에서도 사용한다.

출처 : wikipedia

테라스와의 차이점 TERRACE

테라스와 코트야드의 가장 큰 차이는 건물에서의 위치다. 테라스의 영어 정의는 Flat roof or open platform이다. 건물 맨 상층에 위치한 오픈 공간을 말한다. 코트야드가 잔디로 마감돼 있는 반면 테라스는 포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과 같은 마감재로 마감한다는 것이 다르다.

테라스는 옥상 정원이라고도 한다. 주로 화분 등을 이용해 주변을 가든처럼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영장을 만들어 모던한 스타일로 꾸미는 등 다양한 디자인이 있다.

Source : Contemporist

국내외 코트야드 디자인 사례

Source : archdaily
Source : dg2home
Source : grotec
Source : architecturaldigest
Source : houzz
출처 – dezeen
Source : https://phmkorea.com/2003

ⓒ phm ZINE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볼만한 기사

채 은미
채 은미
여행 같은 집, 여행 같은 삶. 실내 건축 디자이너 ; 캐나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00:12:33

B급 건축이 만들어가는 세상! 이일훈 건축가가 남긴 한국의 B급건축

한국은 왜 예쁘고 비싼 건축만 건축으로 이야기하는 걸까요? 학교에서도...

더 글로리 속 소파, 어디서 봤더라?

더 글로리는 현시대의 불공정함과 부조리를 복수라는 활극에 녹여 시청자들에게...

평범한 러시아 아파트, 아이 놀이터, 소셜 공간, 홈오피스를 가진 멀티 공간으로 변신

젊은 커플이 아이를 가지면 둘만을 위한 공간과 생활은 잠시...

미리 만들어진 기본 도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설계비 확 줄여주는 리빙큐브가 만든 주택, 젓가락 주택

한정된 예산으로 집짓기를 결정한 건축주는 난관에 부딪히기 마련이다.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