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와 목재만으로 완성한 핫 트렌드 욕실

생활 공간, 특히 작은 공간일수록 욕실 디자인에 따라 쾌적함이 달라진다. 현대 국내 욕실에 건식으로 바뀌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이 콘셉트 욕실은 세면대를 제외하고는 흔하디 흔한 목재와 콘크리트 세라믹 타일이라는 평범한 자재를 사용해 완성했다. 하지만 어느 집 보다 독특하고 섬세한 공간이 되었다.

wood-panel-bathroom-and-cement-wall-2-1

건식이 만드는 접근성과 품격의 차이

창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이 답답하거나 좁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아웃도어 친근한 휴식 공간으로 다가온다. 가장 큰 이유는 거실, 침실 과 같은 높이에 건식 공간으로 디자인 했기 때문이다. 국내 욕실이 집 내부 바닥 보다 5cm 정도 낮게 만들어 신을 신게 생활하는 공간으로 만들어 독립된 공간임을 부각시키는 반면 이 욕실은 내부 바닥 레벨이 같은 공간으로 서양 주택처럼 실내 생활 그 상태로 욕실을 이용할 수 있게 디자인했다. 신을 신고 생활한다면 신을 신은 상태에서, 벗고 생활한다면 벗은 그대로 욕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어떤 재료를 쓰느냐 보다 어떻게 재료를 쓰느냐

목재와 코팅된 욕조가 크게 작용한다. 정교한 옅은 색의 밤나무 목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통일시켜 착시현상을 만든다. 또한 그을린 듯한 세라믹 타일 벽이 의외의 조화를 보이며 잇템의 욕실 공간을 완성시켰다. Vanity unit(세면대)이 이 공간의 포인트다. 타악기를 닮은 세면대를 배치해 무색의 공간에 유색을 입혔다. 천장의 나무 프래임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도 결과적으로 좋은 선택이 되었다. 특별한 가공 없이 천연 나무를 다듬어 사용한 듯한 느낌, 로 탐내본다.

%ec%9a%95%ec%8b%a4-%ec%9d%b8%ed%85%8c%eb%a6%ac%ec%96%b4-1

욕실을 화장실이 아닌 Bath로 바라보고 이해한다면 더러운 공간이 아닌, 휴식의 힐링 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다. 건식의 선호가 증가하는 이유는 단순히 습기에 관련된 것이 아닌 생활의 질과 그 공간으로 부터 받는 위로 때문이다.

%ec%9a%95%ec%8b%a4-%ec%9d%b8%ed%85%8c%eb%a6%ac%ec%96%b4-2
wood-panel-bathroom-and-cement-wall-5-1

|DesignerGalina Lavrishcheva

ⓒ ph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더 볼만한 기사

허 지영
허 지영
방(Room)보다 마당(Outdoor). ;디자이너 ;미국

1 COMMENT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평범한 러시아 아파트, 아이 놀이터, 소셜 공간, 홈오피스를 가진 멀티 공간으로 변신

젊은 커플이 아이를 가지면 둘만을 위한 공간과 생활은 잠시...
00:02:13

40년 된 주택, 신축 대신 리노베이션을 통한 놀라운 변화. 평창동 청고상련 주택

어릴 적 추억이 있는 40년이 넘은 주택을 허물고 신축을...
00:02:56

가진 다재능만큼 유쾌한 김동희 건축가 – KDDH

일상의 건축에서 특별함을 추구하는, KDDH건축사사무소의 김동희 건축가를 만났습니다....
00:23:25

인문학적 건축은 무용질물? 왜인지 알려줄게[김광현의 건축강의]

까다롭기로 소문난 대한민국의 건축 이론의 대명사 김광현 교수가 드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