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와 서양 스타일의 아름다운 조합, 홍콩 빌라 Viking Villa

서양 주택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한 하우스다. 페인트 사용과 카우치와 쿠션의 활용, 테이블 동선 등 하나하나 뜯어보면 웨스턴 스타일이다. 스타일 또한 서양스럽다. 그런데 어딘지 모르게 아시아의 향이 넘친다. 맞다. Viking Villa라 불리는 이 하우스는 홍콩에 있는 아파트다.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 웨스턴 스타일의 내부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었을까?

 

 

hong-kong-villa-2

 

|어떤 특징이 있을까?

홍콩 시내에 있는 이 작은 아파트는 웨스턴 스타일의 오픈 플랜 구조를 표방하고 있다. 웨스턴 스타일이라 하면 가장 먼저 대두되는 것이 페인트와 우든 플로어 또는 카펫, 그리고 오픈 플랜이다. 이 홍콩 주택 역시 이런 웨스턴 스타일을 차용해 집을 꾸미고 있다.

벽면을 월페이퍼 대신 페인트를 사용하고, 카우치와 티 테이블 아래는 젊은 감각의 얼룩 무늬의 러그를 깔았다. 카우치에는 여러 종류의 쿠션을 두어 여러 분위기를 만들어 냈다. 러그와 일인용 체어, 자재의 활용 방법 등으로 다이닝 공간과 거실을 나누었다. 디이닝 공간은 둔탁하고 투박한 목재를 사용해 메시브한 느낌을 주고, 세련되고 밝은 컬러의 소파와 러그를 사용해 거실을 꾸몄다.

 

 

hong-kong-Villa-8-홍콩-주택

 

집을 채우고 있는 다양한 소가구와 제품들 아시아의 향을 그대로 드러낸다. 가령 입구에 서있는 조각상과 부엌 찬장을 채운 다양한 데코레이션과 제품들, 화분의 스타일, 목재 테이블 등을 사용해 동양의 색감을 입혔힌 것이다.

 

 

hong-kong-villa-4

 

침실은 조명의 위치를 색다르게 배치하면서 동양의 템플을 떠올릴 만큼 평온하고 부드럽게 인테리어를 완성했다. 베드 프레임 뒤쪽에 작은 진열 공간을 만들고 그 안으로 조명을 넣어 고급스런 호텔의 아늑함을 더했다.

 

 

hong-kong-villa-13

 

묵직하고 투박한 목재 다이닝 테이블과 모던 분위기 강한 라이트가 어우려져 색다른 느낌의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목재가 아닌 좀 더 모던한 느낌의 다이닝 테이블을 사용했다면 전체 분위기와 더 자연스럽게 어울렸을 것이다. 목재 베이스의 글 그대로 사용하고 싶었다면 유리 대신 같은 목재의 상판과 좀 더 투박하거나 힘을 뺀 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hong-kong-villa-5

 

집의 구조가 아닌 소품과 소품의 위치만으로도 서양 분위기의 집 내부를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의 집이다. 만약 서양 분위기의 주택 변화를 계획하고 있지만 비용적인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면 소품을 바꾸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Design : Dylantan Design

 

ⓒphm ZINE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볼만한 기사

PHM ZINE
PHM ZINEhttps://phmkorea.com
집에 대한 즐거운 통찰과 해석, 집에 대한 이해. 더 나은 대한민국 홈 라이프를 위한 PHM ZINE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진정한 오픈 플랜이란 이런 것. 스페인 바르셀로나 오픈 플로어 플랜 스튜디오(원룸)

오픈 플로어 플랜(Open Floor Plan)라는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또...

주방 용품, 서양처럼 넣지 않고 매달아 사용해 볼까?

치우고 정리해도 너저분한 키친은 항상 문젯거리다. 이런 키친 정리...

Striped Slat(스트라입트 슬랫)을 이용한 파티션과 패널링. 어떤 장점이 있는 걸까?

triped Slat(스트라입트 슬랫)이라는 단어가 낯설기는 하지만 사실 낯선  인테리어...

해외에서 인기몰이 중인 페니 타일(Penny tiles) 그 매력 속으로

클래식과 그래픽(현대적)이 조합된 임팩트한 욕실 주방 인테리어 디자인이 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