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옥

134 POSTS
Be happy, don't worry!
00:02:31

국내에서 가장 긴 캔틸레버 철골 구조 주택, 퇴촌의 뜬집

국내에서 이런 실험적인 주택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무척 즐거운 일이다. 결과물에 건축주까지 만족한다니 이 Cantilever 주택을 설계한 건축가는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디자인으로만 보면 도시에...

집짓기 프로세스 STEP 4 : 구상(스케치)단계

아이디어가 모아지면 이를 바탕으로 계략적 이미지화를 한다. 이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스케치다. 건축가가 직접 그림을 그리는 단계로 무척 직관적인 단계다. 클라이언트와의 소통도 쉽다. 그러나...

공부 많이 한 건축주를 건축가는 좋아한다? NO~ 건축주를 위한 교육백서

건축가를 만나기 전 클라이언트는 사전 공부를 하고 가는 게 좋을까? 물론 아는 게 많다면 대화가 쉽게 오갈 수 있지만 거기까지다. 아는 게 많다고 더...
00:04:21

건축 유학 필요한가요? 그리고 한국 건축사 제도

건축 유학은 건축과 학생을 비롯 실무 건축가도 한 번은 생각해 봤을 진로다. 하지만 건축 유학과 외국 생활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건축 유학은 그 나라에...
00:03:42

건축과 실습에 대한 건축가들의 생각. 그리고 실습 시스템 한계

건축과 학생들에게 방학은 실습의 시간이다. 실습이 선택인 학교도 있지만 필수인 학교에서는 졸업 전 반드시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학교에서는(또는 교육부에서는) 학생들이 졸업하기 전 건축 일을...

Breaking

00:12:40

나무를 베는 게 산림 파괴라고?

#벌채#산림청#산불방지 나무를 베면 산림을 훼손하는 거라 생각하지만, 아닙니다. 건강한...
00:29:13

목조에 대한 거짓 정보 이것으로 종결! 어떻게 지으면 좋을까?

#목조주택#목조#패널라이징 한국에서 목조 주택은 최악의 선택이다? 넘처나는 목조 주택과...

한국 도시 주택에 유럽형 Buffer Zone 방식을 적용하면 어떨까?

한국 주거 지구(Residential Area)와 미국, 호주를 비롯한 유럽 주거...

친구, 이웃과 함께 어울리기 딱 좋은 작은 카페 같은 공간 디자인, 우크라이나 주택

집은 쉼의 공간이기도 하고, 또한 사회와 소통하는 첫 출발점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