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잔재 평(坪)수, 아직도 사용하나요? 제곱미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일제 잔재인 평(坪)수, 계속 사용해야 하는 걸까?

2000년대 초반까지 국내에서 집의 크기(넓이)를 언급할 때 ‘‘이라는 단위 표기법을 사용했다. 단위 평수는 약 3.3 제곱미터로 언뜻 보기에는 쉬운 듯하지만, 토지 계량 관련 일제 잔재이다. 또한 설계적인 면에서나, 국제단위로나, 더욱 매매 관련 옳은 표기법 아니었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도 2000년대 중반 표기법 교체를 단행했다. (고 노무현 대통령 시절) 그런데도 많은 잡지와 부동산은 독자들의 이해를 높인다는 차원에서 문제의식 없이 여전히 평이라는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잘못된 사용은 한국 건축 사회 발전은 물론 국내 역사관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면서도 말이다.

mq


일제 잔재 평(坪)수, 왜 아직도 사용될까?

평수가 여전히 사용되는 것은 부동산 업계의 잘못이 크다. 하지만 부동산 쪽은 평생 평수를 사용해 온 고령층의 편의와 이해를 무시할 수 없었다. 넓게는 30대, 좁게는 20대 초중반의 사람은 제곱미터가 익숙하겠지만 실질적으로 집을 사고파는 연령대는 평수가 더 이해가 쉬운 40대 후반 이상의 연령층이기 때문에 이런 평수 사용의 관행은 계속 되오고 있다.


제곱미터가 어려운 사람에게 평수 환산법

제곱미터를 공식 단위로 배우고 사용하되 어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수로 환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곱미터를 평으로 환산하는 쉬운 방법이 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어림잡아 그 크기가 얼마인지는 충분히 가늠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이 두 평 반, 다섯 평 반의 표현보다는 더 정확하다.

어떤 매물이 100 m2  이라면 평으로 약 30평 정도가 된다. 계산은 간단하다.

1) 100 이라는 숫의 마지막 숫자를 제거한다.
(여기서는 0)

2) 남은 수, 10에 3을 곱한다. 

이렇게 30이라는 숫자를 얻게 되고 이것이 평을 가리키는 크기가 된다. 너무나 간단하다.

만약 445m처럼 마직막 숫자가 0이 아닐 경우는 반올림을 하거나 버린다. 마지막 숫자가 6,7 이라면 반올림을, 5보다 작은 숫자라면 버리고 계산한다.

445m2  → 44 x 3=132
104m2  10 X 3=30
108m → 11 x 3=33

반대로 누군가 30평이라고 이야기해 그 크기가 와닿지 않는다면 역으로 계산하면 된다.

1. 30을 3으로 나누어 나온 수에
30/3 = 10

2. 이 10에 숫자 0을 맨 끝에 붙여주면
100 이 된다.
이 100이라는 숫자가 제곱미터다.
100㎡

제곱미터-계산.jpg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런 작은 것들이 고쳐지지 않고 쌓여 역사관을 해하고 옳은 것을 지키는 것에 대해 무감각하게 만든다. 작은 것 같지만 버려져야 할 필요 없는 일제 잔재가 하나 없어지기를 바라본다.

ⓒ기사 내 사진과 영상은 phm ZINE 저작권의 콘텐츠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더 볼만한 기사

김동욱
김동욱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주거 공간. 왜 나가? 영원한 집돌이.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ore like this
Related

동소문동 오피스텔 ‘더에이트’

서울의 한 대학가에 위치한 본 대지는, 일조권에 있어 유리하다...

타이완에는 레고로 디자인한 아파트가 있다! The LEGO Play Pond 아파트

보고도 믿을 수 없는 이 집에 들어서는 순간 놀람과...
00:24:14

AI 건축 설계 시대! ai 건축의 현재 수준과 미래 전망

#ai#건축설계#ai건축 #ai설계#건축설계#건축설계자동화#ai#챗dpt#cahtgpt 스위스에서 데이터, 로봇, 기반의 색다른 건축을 공부하고...

기념비적 의자 디자인의 변천사. 인류 역사가 담긴 의자 디자인과 이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대는 변해왔다. 반복도 되었지만 같은 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