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제2의 도시이자 유럽 최대의 무역항인 로테르담(Rotterdam)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로 최근 로테르담의 중심으로 개성 넘치는 도시 재생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가운데 젊은 건축가 그웬돌린 휴시스먼(Gwendolyn Huisman)과 마린 보터먼(Marijn Boterman)가 함께 실행한 스키니SCAR(skinnySCAR)라는 2017년 마무리된 프로젝트가 화제가 되었다. 어떤 특징과 의미가 이 프로젝트를 주목하게 했을까?
자투리땅, 어떻게 풍부한 생활 공간으로 만들까?
프로젝트 스키니 SCAR(skinnySCAR)은 가로 3.4m, 세로 20m라는 조금은 독특한 형태와 크기의 땅 위에 지어진 일명, ‘실용 주택’이다. Gwendolyn Huisman과 Marijn Boterman, 두 건축가는 2012년 이 땅을 구입해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진행했고 2017년 마침내 지금의 이 주택을 완공했다.

나라별, 신체별 편차는 있지만 공간에는 사람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는 최소한의 폭과 높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 한계점보다 좁거나 낮으면 공간에 머무는 사람은 폐소 공포증이나 심한 불안감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폭은 양팔을 폈을 때의 길이가 기준이 된다. 2명 이상이 함께 생활할 때 불편을 느끼지 않으려면 3m 이상의 폭이 되어야 한다고 한다.
서양 사람은 이 폭을 좀 더 넓게 계산하는데, 아시아 사람보다 공간을 넓게 또, 개방적으로 사용해 온 생활 습관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의 폭은 3.4m로 한계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다.

중앙에 위치한 큐브 스페이스가 코어
이런 제한된 조건의 공간을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과감하게 마감을 생략하여 층고를 높이고, 20m라는 긴 공간이 주는 개방성과 공간감을 최대화하기 위해 벽을 없앴으며, 각층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기능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심부에 큐브 스페이스를 장착했다.

큐브 스페이스는 건물을 지탱하고 하중을 견디는 기둥에 새로운 기능을 장착한 오랜 실험의 결과물이다. 각층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계단에 각 층마다 책장, 스토리지, 욕실 등을 품고 있다. 제한되고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이고 풍만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다.

큐브 스페이스는 단순히 기능만 제공하지 않는다. 심미적으로도 공간을 돋보이도록 만들어준다. 노출 콘크리트와 화이트 컬러로 마감된 주변의 차가운 분위기를 한결 따뜻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도 한다.

건물과 건물 사이에 위치하는 이 주택은 형태적으로 건물의 앞과 뒤쪽으로만 창을 만들 수 있다. 20m라는 긴 길이 때문에 중앙 부분은 빛이 들어오기 힘든 구조다. 큐브 스페이스는 이렇게 빛이 닿지 않는 공간을 멋지게 커버하면서 큐브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앞뒤 공간을 나눠주는 역할도 한다.

제한된 창의 위치 일조량은 어떻게?
앞과 뒷면 벽은 절반 이상을 창으로 구성했다. 그래서 충분한 태양광이 내부에 스며들 수 있게 했고, 정면 부는 돌출형 디자인의 창문과 매몰형 디자인의 창문을 각각 어긋나게 설치해 주택 외관 디자인의 독특한 개성을 줌과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아름다운 거리 풍경을 감상할 수 있게 만들었다.
건물 뒤쪽 창 쪽으로는 편히 쉴 수 있는 리빙 스페이스와 침실, 다이닝 공간을 배치해 생활을 하면서 답답하거나 좁다는 느낌을 받지 않게 유도했다.

프로젝트 스키니SCAR(skinnySCAR)은 로테르담 구도시 구역 곳곳에 방치된 자투리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점점 늘어나고 있는 도심 속 노후 주택의 재건축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 이런 실험과 디자인은 현대 국내 도시에도 적용하여, 자투리 공간을 실용적으로 활용하면서 국내 주택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Architects
: Gwendolyn Huisman and Marijn Boter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