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식 주거 공간이라는 단어에 많은 이들은 국내의 주거 양식과는 다른, 적용하기 어려운 공간이란 느낌을 받곤 한다. 하지만 동서양의 문화교류가 많아지고, 서로의 문물을 받아들이며 동양의 주거공간은 이미 많은 부분 서양주거의 요소와 교류하고 있다. 아시아이지만 서양의 주거양식과 소품이 자연스레 공존하는 주택이 있다. 밝은 색의 콘크리트와 석재마감이 멋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타이완의 미니멀리스트 주택 Blank다.
빛과 공간의 조화
작은 대지에 여러 층을 두어 공간을 활용하는 국내의 소형 주택과 닮아있는 이 주택은 타이완의 HAO Design에서 설계하였다. 총 3개 층으로 구성된 집은 공간의 활용도를 위해 1.5층 (Mezzanine)의 계단참을 활용해 가족에게 멋진 서재공간을 선사하였다.
작은 대지 위에 다양한 기능의 공간이 형성되다 보니, 상부와 측면에서 들어오는 자연 빛을 활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1.5층(Mezzanine)에 형성되는 벽을 제거하고 철제 프레임을 대신하였다. 자연스레 1.5층의 바닥면은 내부에서 가시적으로 층을 나누는 기준이 되었고, 상부에서 내려오는 빛은 열린 공간을 통해 하부까지 확장되게 되었다. 주방공간은 투명한 소재를 활용하여 은은한 빛을 끌어들이고 있다.
메자닌을 통한 공간 소통과 수직의 아름다움 표현
공간을 이어주는 복도와 같은 계단은 상하부의 공간을 나누는 동시에 빛으로 소통을 유도한다. 1층과 1.5층이 모두에게 시각적으로 열려있는 공용공간이라면, 2층은 침실과 욕실이 위치한 개인적인 공간이다. 성격에 따라 나누어진 공간은 열린 계단실로 연계된다.
2층의 넓은 창과 천장에서 들어오는 자연빛을 욕실로 끌어들이고, 침실과의 경계부분에 벽 대신 낮은 참을 두어 2차적으로 침실까지 빛을 확장시켰다. 이 빛은 자연스레 1.5층에 전달되고, 1.5층에서 반사된 빛은 다시 한번 1층에 전달되어 분리된 공간을 빛으로 소통하게 만들었다.
프랑스 스타일이 적용된 천장의 채광 창과 입면의 창문은 동양적인 마감소재와 결합하여 빛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똑똑한 디자인이 되었다.
서양을 받아들이고 동양을 적용하는 디자인
바닥에서 시작하여 계단, 가구로 이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나무 마감재가 사용된 가족실 공간은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좌식에 익숙한 동양의 생활문화에 맞도록 따스한 느낌의 우드 바닥을 형성하였고, 곳곳에 식물을 배치하여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에 입식 생활에 익숙해진 현대인의 삶을 위해 소파 및 의자를 겸할 수 있는 창틀을 형성하였고, 주방의 보조 테이블 겸 다이닝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는 가구를 배치하여 공간의 효율을 높였다. 공간 곳곳에는 러그와 소파 등을 배치하여 좌식과 입식 모두 자유로운 주거공간을 형성하였다.
1.5층에 형성된 서재공간은 바닥과 벽면의 톤을 낮추고, 청록색의 포인트가 되는 가구를 배치하여 공간의 활력을 더하였다. 밝은 마감재와 낮은 계단참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 빛은 공간이 넓어 보이는 효과를 내고, 큰 창을 통해 보이는 동양적인 기와는 멋진 인테리어 요소가 되었다.
네거티브 스페이스와 결함한 미니멀함이 주는 안정감과 간결함이 공간에 깊이를 더한다. 정적이면서도 풍부한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시선의 소통
북유럽 양식의 소품이 많이 보이는 욕실은 물리적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지만 천장과 벽, 바닥 소재를 우드로 달리하여 침실과 별개의 새로운 공간의 느낌을 느낄 수 있게 하였고, 커다란 창을 통해 외부와 소통하게 하였다. 물을 사용하는 습식 기반의 욕실이지만, 침실과의 경계의 모호성, 휴식공간으로서의 배려로 배수구를 제외하면 건식으로 활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앙스위트(En-suite)룸, 여기에 또 하나의 특별함을 더하다
개인 욕실이 딸린 앙스위트룸. 마스터 룸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태로 전체를 유리로 처리하거나 침실과 오픈하는 경우도 있다. 이 타이완 Blank는 독특하게 디바이더를 차용하는 방법으로 앙스위트 룸을 완성했다. 문이 없는 오픈 형식이지만 침실쪽 공간과는 다른 벽과 바닥, 천장 마감과 사이 가슴 높이의 디바이더를 세워 작은 공간의 오픈성을 확장하고 공간에 부드러움과 물 흐르 듯 자연스럽게 공간을 연결했다.
이같은 접근은 국내 원룸에서 생활 공간을 더 밝고 개방적으로 만들어 줄 대안으로 활용해 볼만하다. 국내 욕실은 특히 원룸(스튜디오)의 욕실은 관리가 힘들다. 화장실의 개념이 강한대다 습식이어서 공간 간 전체를 망가뜨리기 일수다.
좋은 집은 집 주변 환경도 아름답게 만든다
낮 시간 동안 큰 창을 통해 강조되는 내부 공간은, 밤 시간 안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통해 멋진 야경을 선사한다. 사생활을 위한 공간은 창에 스틸판을 더해 입면에 볼륨감을 주었고, 회색의 콘크리트 벽과 대조된 석재마감의 출입구는 입구성을 강조하고 모서리 공간이지만 양 측면을 자연스레 연계하는 열린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서양 주거 공간이라고 하면, 넓은 면적에 멋스러운 가구를 배치한 공간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좁은 공간 안에서도 소품과 동선, 생활 방식에 따른 요소 도입에 따라 효율적이고 아름다운 건축 요소를 적용해 볼 수 있다.
한정된 대지 위에 주택설계를 고려하고 있다면, 그리고 서양식 공간과 디자인을 구현하고 싶다면 동서양이 공존하는 이 타이완 Blank 같은 미니멀리스트 주택 어떨까?
-거실 공간-
-침실-
-욕실-
-익스테리어-
-평면도-
Architects
: HAO Design
ⓒ기사 내 사진과 영상은 phm ZINE&tv 저작권의 콘텐츠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합니다.